본문 바로가기
라이프

[생활정보] 2022 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

by 이니드 2022. 2. 9.

청년희망적금-미리보기

 

안녕하세요. 이 니드입니다.

오늘은 2022 청년희망적금에 대해

알아보려고 해요.

굉장히 핫한 상품이죠.

금리가 굉장히 높아서 이미 높은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'청년희망적금'에 대해 알아볼게요.

그럼 시작할게요.

 

 

 청년희망적금이란?

 

- 이자소득 비과세와 저축장려금 지원 등을 통해 연 9% 금리 수준의 일반 적금과 유사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는 적금입니다.

- 매월 5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부할 수 있는 적금상품으로 만기는 2년입니다.

- 만기까지 납입할 경우 시중 이자에 더해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
- 이자소득에 대한 이자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.

저축장려금 : 1년 차 납입액의 2%, 2년 차 납입액의 4%만큼 지원

ex> 매월 50 만원 * 2년 납입 : 최대 36만 원(1년 차 12만 원 + 2년 차 24만 원)의 저축장려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청년희망적금-효과-예시

 

 '청년희망적금 미리 보기'

 

 

2022.2.9(수) ~ 18(금) 동안 청년희망적금 가입 희망자가 가입 가능 여부를 사전 확인할 수 있는

'청년희망적금 미리 보기'가 운영됩니다.

※ 영업일(주말 제외) 오전 10시~오후 10시 중 운영

 

■ 취급 예정 11개 은행의 앱(App)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, 가입 가능 여부를 2~3일 영업일 이내에 문자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

※ 국민/신한/하나/우리/농협/기업/부산/대구/광주/전북/제주 은행

 

■ 연령, 개인소득 요건만 만족하면 가입할 수 있으며, 직종이나 근무회사의 규모 등에 따른 가입제한은 없습니다.

※  연령 :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(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인정)

※  개인소득 : 직전 과세기간(21.1 ~ 12월) 총 급여 3,600만 원(종합소득금액 2,600만 원) 이하

 

 

'청년희망적금 미리 보기'에 참여해서 가입 가능 문자 받은 가입 희망자의 경우

- 상품이 정식 출시되면 '미리 보기'를 통해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우니,

정식 출시 후 은행 창구에서 가입 가능 여부를 확인해야 합니다.

 

시중금리 : 오늘부터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 예금상품 금리 비교 공시사이트에서 은행별로 비교 가능합니다.

https://www.kfb.or.kr/main/main.php 

 

전국은행연합회

금융상품정보, 금리/수수료 비교공시, 금융서비스 정보, 소비자 정보, 회원사 정보 및 연합회 소개 등

www.kfb.or.kr

 

 

 상품 출시

 

2월 21일(월) 11개 은행에서 정식 출시 예정

- 취급은행 중 1 은행을 선택하여 1개 계좌만 개설할 수 있으며, 대면, 비대면으로 가입 가능합니다.

※ 영업일(주말 제외) 오전 9시~오후 10시 중 운영

 

정식 출시 첫 주 (2.21~25일)에는 5부제 가입방식이 적용될 예정입니다.

청년희망적금-5부제-가입방식

 

■ 정부 예산에서 저축장려금을 지원하는 상품으로, 가입신청 순서에 따라 운영할 예정이며 예산규모 등을 고려하여 가입 접수가 종료될 수 있습니다. (5부제 기간 중에는 일별 가입신청 기준 등)

 

 

 문의

 

보다 자세한 안내는 출시 예정인 11개 은행 콜센터, 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콜센터(1397)로 문의하시면 됩니다.

은행-콜센터-전화번호

 

 


 

어떠셨나요?

가입대상이 되시는 분들은 좀처럼 보기 힘든 금리

상품이니 기회 놓치지 마시고

가입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.

내게 맞는 은행도 잘 따져 보시고 가입하시길 바라요.

오늘도 긴 글 읽어 주셔 감사해요.

 

헬로 뷰티풀을 방문해 주시는 분들의 매일매일이

무탈하길 바랄게요.

 

댓글